생활습관 등 맞춘 기능성 렌즈도 다양



대한안경사협회(회장 이정배)에서 실시한 '2011년 전국 안경사용실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절반이 넘는 53.8%가 안경을 착용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문화가 발달하고 시각 매체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시력저하로 생활에 불편을 겪는 이들이 많아진 것이다. 눈은 인간의 오복 중 하나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신체기관이다. 좋은 시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시력교정을 위해 안경을 써야 한다면 연령과 생활습관에 맞는 안경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0세에서 10세에는 어린이 근시 진행을 완화하는 기능성 렌즈로 진행 속도를 완화해야 한다. 어린이의 눈 기능이 자리 잡아가는 시기는 만 5세로 이 시점에 시(視)세포는 어른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 된다. 따라서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읽고 쓰기를 배우기 전인 6세 이전에 시력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보통 근시가 생기면 좋아지는 경우는 없고 안구 성장이 멈추는 18세까지 꾸준히 진행된다. 성장을 고려해 6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아 근시여부를 체크, 근시가 진행되고 있다면 이를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안경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볼 때 어린이의 눈에 가해지는 긴장감과 피로도를 줄여 시력 교정은 물론 근시 진행 완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30대는 장시간 업무 및 it 기기 사용 시 눈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안경렌즈를 선택해야 한다. 이 시기는 사회활동이 활발해지며 컴퓨터, 스마트폰 등 장시간 it기기 사용이 늘어나는 시기이다. 또한 미용을 위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이도 늘어나는 시기이나 눈 건강을 고려해 가급적 안경착용을 권한다. 2~30대의 경우 장시간 노트북 및 it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안정피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기능성 단초점렌즈를 착용하면 눈의 통증, 뻑뻑함, 피로감을 지연시켜 근거리 작업 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4~50대 이상에서는 가까운 곳이 안 보이는 중년안(노안)이라면 누진다초점안경으로 해결해야 한다. 40대가 되면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볼 때 초점 맞추기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노안이 시작되고 있다는 징후이다.
특히 최근에는 발생시기가 점점 빨라져 40대초반에서도 노안이 나타나고 있어 중년안이라고도 불러야 맞는 말일 것이다. 평소 시력이 좋던 사람도 중년안이 오면 생활에 많은 불편을 느끼기 때문에 중년안이 왔다면 누진다초점안경을 착용해 시력을 교정하는 것이 좋다.
 누진다초점안경은 외관상 일반안경과 같아 미용상으로도 우수한 것이 장점이다. 또한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시야범위가 넓고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누진다초점렌즈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를 자랑할 만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출시되고 있는 바리락스렌즈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누진다초점렌즈부터 골프 및 야외 스포츠, 운전, it기기 사용에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글로벌 기업과 대명광학, 케미그라스, 한미스위스 등 국내 기업에서도 다양한 제품군으로 출시되고 있어 소비자 선택의 폭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
 에실로코리아 누진다초점렌즈 바리락스 마케팅 팀장은 "최근 안경렌즈 제조 기술의 발달로 연령별 증상 및 생활습관에 따라 기능성 렌즈가 매우 다양하다"며 "시력교정이 필요하다면 안경사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안경렌즈를 선택해 편안하고 선명한 시야를 가질 수 있길 바란다"고 설명한다.
권기혁기자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