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결함 치료 효과…관련 임상-과학적 연구 절실

vaegan과 mcmonnies는(201) 이향운동 활동시 눈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녹음 장치를 활용하였다. 그들은 프리즘을 이용한 변화를 활용한 융합 훈련이 융합 능력의 지속적인 향상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동반연구에서 vaegan은(202) 토닉과 위상 이향운동 훈련을 통해 상당히 오래 지속되는 이익들을 얻게 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pantano는(203) 200 명이 넘는 눈모음부족 현상을 나타내어 비전테라피를 받은 사람들을 연구하였으며 2년 후에 그들을 평가하였다. 대부분은 일반적인 임상 소견과 함께 증상이 없는 상태 그대로였다.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융합과 더불어 조절 능력을 제어하는 법을 배운 사람들이다.

그리샴은(204, 205) 적외선 눈 모니터 레코딩을 사용하여 이향운동 지연, 속도, 그리고 이향운동 추적 속도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사용했다. 그는 4∼8주 동안 비전테라피를 행한 결과 이향운동 추적이 개선되었음을 보고하였다.

cooper와 duckman은 눈모음부족 형상을 광범위하게 검토하였는데, 실험에 참가한 환자들의 95%가 비전테라피에 매우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206).

cooper와 feldman은(207) 무선 점 입체 사진(rds)을 사용하여 비전테라피에서의 조작적 조건화 역할과 임상적용을 조사하였다. 그들은 기대적 반응의 긍정적 강화, 즉각적인 피드백, 그리고 변별 학습 중 일어나는 프로그램화 된 체계적 변화는 융합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통제 및 실험 집단은 기본 융합 능력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실험 대상자들은 각 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통제 집단은 융합 능력에 거의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험 집단의 융합 능력은 놀랍게 발전하였다.

쿠퍼 등은(208) 비전테라피와 눈모음부족 환자들이 나타내는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대조 연구를 실시했다. 플라시보 효과를 줄이기 위해 융합 능력 활동의 비전테라피 프로그램은 짝지은 피험자 통제 집단 교차 연구에서 시행되었다. 그들은 서면으로 된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안정 피로를 측정했으며 결과적으로 증상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었음을 나타냈다. 임상 소견도 주관적 평가들을 확증하여 개선되었다.

dalzie1은(209) sheard의 기준에 달하지 못하며 비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100명의 눈모음부족 환자들에 대해 보고하였다.

비전테라피 후 임상 소견을 다시 종합한 결과 환자들 중 84%가 sheard의 기준에 성공적으로 달하였다. 83%의 환자는 치료 전에 불편함 또는 효율 저하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했다. 테라피 후에는 7%만이 이런 증상들을 보고하였다.

포스트 트레이닝 집단에서 sheard의 기준에 달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이상 증상들을 호소하는 사람들과 일치했다.

wold는(78) 비전테라피를 받은 100명의 환자들이 얻은 결과를 보고했다. 표준적인 임상 시험결과에 의하면, 비전테라피를 받기 전 어린이의 25%만이 양안 감각 융합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9%에게만이 충분한 양안 융합 능력이 있었다. 포스트 트레이닝 평가는 96%가 적합한 감각 융합을 달성했으며 75%가 적절한 융합 능력 범위 안에 들었음을 나타냈다.

wittenberg 등은(210) saladin과 rick과(211) 함께 약간은 다른 테크닉을 사용하여 입체시의 초기는 일반적인 대상의 경우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dalziel의(212) 연구에서는 비전테라피 후에 입체시에 의미깊은 발전이 있었다.

■‘사시’

또 하나의 양안 시각 장애로서 사시가 있다. 사시란 한쪽 눈의 시선이 나머지 한쪽 눈의 시선과 서로 다른 경우를 가리킨다 (또는 사팔뜨기, 안구 회전, 약한 안근육 등이라고 함). 안구 회전의 정도와 방향, 영향을 받는 신경과 근육의 수, 그리고 감소된 시력과 관련된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사시가 존재한다. 임상적 특성 및 진단 기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212-215).

사시를 위한 비전테라피의 성공에 대한 포괄적 검토와 연구들이 존재한다. flom은(216) 연구들을 검토하고 상세한 다원적 분석들을 사용하였다. 그렇게 하여 비전테라피를 시행했을 경우 사시의 전반적인 기능적 치유율은 50%이며, 내사시보다 외사시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ludlam은(217) 비전테라피를 받은 149명의 사시 환자들의 케이스를 검토하고 flom이 세운 엄격한 기준에 따른다면 성공률은 73%에 달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동일한 대상으로 행해진 종적 추적 연구에서 ludlam과 kleinman은(218) 환자들의 89%에게 치료 효과가 유지되었음을 발견하였다(양안시 존재). 비전테라피의 장기적인 성공률은 전반적으로 65% 였다. 만약 덜 정확한 연구들에서 적용한 "똑바른 눈"의 성형 기준처럼, "성공" 이라는 단어의 정의를 덜 엄격하게 내리자면 성공률은 96%까지 증가하며 장기적인 성공률은 71%에 육박한다.

flax와 duckman은(219) 사시 치료에 대한 자신들의 문헌 리뷰에서 사시에 대한 비전테라피의 효능을 강력히 지지해 주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그들은 수많은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는데, 모두 성공의 엄격한 기준에 달하였고 전반적으로 86%나 되는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gillan은 100 개의 사례를 대조 연구하여 사시 환자들의 76%가 사시교정술과 함께 성형 치료를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안경만을 사용하여 치료를 받은 통제 집단에 속한 환자들은 단 한 명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았다.

guibor가(221-223) 실행한 일련의 대조 연구에서는 실험 집단의 50%가 안경과 비전테라피(orthoptics)를 통해 눈 정렬을 달성하였지만 비전테라피 없이 안경만 사용한 통제 집단은 12.5%만이 성공하였다.


더욱 최근에는 ziegler 등이(224) 사시와 관련하여 비전테라피의 효능에 대한 문헌 리뷰를 실시했다. 그들은 flom에 의해 정의된 기증적 치료 기준을 사용하여 출판된 문서들을 비교 분석하므로 매우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들은 etting의(225) 연구에 주의를 기울였는데, 그 연구에 의하면 지속사시 환자들의 경우 65%의 성공률(내사시의 57%와 외사시의 82%), 간헐사시의 경우 89%의 성공률(내사시의 100%와 외사시의 85%), 그리고 망막대응이 정상일 경우 91%의 성공률이 있었다.

컴퓨터로 생성되는 스테레오 그래픽을 사용하여 비전테라피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된 한 연구에서 kertesz와 kertesz는(226) 57명의 사시 환자들에서 74%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그들은 전통적인 비전테라피 테크닉들을 coopero7에 의해 사시가 아닌 양안시 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적용된 컴퓨터 생성 자극과 함께 결합하였다. 달성한 기능적 치료는 5년까지의 기간 동안 후속점검을 통해 장기적임이 밝혀졌다.

sanfilippo와 clahane은 (227) 외사시를 위한 사시교정학 테라피의 결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에 끝까지 참여한 환자들 중 64.5%는 기능적 치유를 달성하였고 51.7%는 5년 4개월 동안 전반적으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간헐사시와 항상성 외사시를 위한 사시교정술(비전테라피)의 효능에 대한 두 개의 연구에서 altizer와(228) chryssanthou는 환자들의 대다수가 임상소견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발견하였다.

goldrich는(230) 눈벌림 과다형의 외사시를 위한 비전테라피 그로그램에 끝까지 참여한 환자들의 기록들을 검토했다. 환자들을 검토한 결과, 71.4%는 약 5개월의 연속 치료를 집에서 만이 아니라 병원에서 받은 결과 기능적 치유를 경험할 수 있었다.

여러 연구들은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눈정렬을 돕기 위해 비전테라피에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하였다(231-236). 이 연구들은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비전테라피를 개선하고 보강하고 동기부여하는 것을 지지했다.

망막 이상 대응을 보이는 내사시 환자들이 가장 성공적으로 치료되기 어렵다. 더욱 적극적이고 정교한 테크닉들을 사용하는 비전테라피가 망막 이상 대응이나 내사시를 치료하는데 더 큰 성공률을 기록하였다(237,238). 일반적으로 망막 이상 대응과 내사시를 치료하는 시간은 다른 종류의 사시를 치료하는 기간에 비해 더 길다고 할 수 있다.

■ 요약 및 결론

비전이란 단순히 특정 크기의 글자를 20 피트의 거리에서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아니다. 비전이란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복잡하고 융통성 있는 시스템으로서, 정보를 모으고, 분류하고, 분석하며, 축적하고, 균등하게 하고, 기억한다.

이 평론에서는 안구운동 신경, 조절 운동계, 그리고 융합 운동계와 같은 시각 체계들과 생리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그와 관련된 질병들의 중요한 요소들 몇 가지가 논의되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발생하는 그 어떠한 장애로도 시각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정보의 양과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시각 서브 시스템에 생기는 결함들은 흐리거나 불편한 시각 또는 두통, 눈을 비비는 것과 같은 행동, 눈이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간다든지, 일 능률의 감소, 또는 저하된 읽기 능력, 그리고 근점 과제를 거부하는 증세들로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징후/증상들은 근점 거리에서 해야 하는 과제에 대한 관심과 주의력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비전테라피의 목적은 시각 문제들을 제거하여 환자들의 징후 또는 증상들의 빈도와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비전테라피는 감지될 수 있는 시각 결함들을 가진 환자들에게 임상적 이득만을 가져 올 것이라고 기대해야 할 것이다.

"시각적 결함들을 치료하는데 비전테라피는 얼마나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자면 앞에서 거론된 연구들은 안구운동 신경, 조절계, 그리고 양안계에 일어나는 질병들을 개선하는데 비전테라피가 효과적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결과들이 표준적인 임상적 그리고 실험실에서의 시험 방법들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올바르게 통제된 모든 연령대의 환자들 대부분에 의해 증명되었다.

미국검안안과 협회는 비전테라피가 시각 시스템에 생기는 많은 생리학적인 그리고 정보처리와 관련된 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요법임을 오래 전부터 지지해 왔고 다시 단언하는 바이다. 본 협회는 질적인 눈 관리, 교육, 그리고 연구들을 지원하고 시각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삶의 최고의 질을 제공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전문가들과 협력할 것이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