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연구원이 세계 최초 개발된 EGD를 이용해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3D 나비를 보고 있는 모습.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세계 영상 위에 3D 그래픽 객체를 겹쳐 안경으로 보고 또 이를 디스플레이 밖의 가상공간으로 끊김없이 이동시키는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ETRI가 구현에 성공한 안경 디스플레이(Eye Glasses Display)의 경우, 3D 화면을 볼 수 있는 편광필터 안경에다 LCD 디스플레이를 접목, 외부의 3D 화면도 감상하면서 부가적인 콘텐츠 정보를 안경 속의 LCD를 통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광학투과식(Optical See-through)의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방향 3D 콘텐츠를 표현, 몰입형 체험이 가능하다.
ETRI가 (주)아큐픽스와 공동개발한 이 안경 디스플레이 경우, 영상 출력 용도로만 한정된 외산제품과는 달리, 주변의 다른 3D 디스플레이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들 간의 자유로운 콘텐츠 이동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100g의 가벼운 무게와 부피를 가지고도 해외 유사 기술 대비 동급 최고 수준인 SXGA(1280x1024)급 고해상도 입체 영상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기술이 상용화 되면 정적이던 기존 전시관과는 달리 체험위주의 살아있는 전시관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유치원, 학교 등에서 생동감 있게 전달이 필요한 체험교육에 적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 나의 움직임이 동반된 내 공간 주위에 콘텐츠를 보이게 할 수 있어 테마파크에도 가상체험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입체감 확장기술을 통해 모델링한 데이터와 이기종 디스플레이 상호 연동기술로 콘텐츠를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ETRI는 향후 기술개발을 통해 보다 실감나는 4D 콘텐츠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ETRI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추진하는 '디지털콘텐츠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1년부터 4개년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감 체험 공간 확장형 Live 4D 콘텐츠 플랫폼 기술 개발'이라는 과제를 통해서 본 기술을 개발했다.
ETRI 융복합콘텐츠연구부 이길행 부장은 "3D 기술 선도 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앞 다투어 안경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3D 콘텐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존의 '단순히 보고, 듣는' 콘텐츠 수준을 넘어 '만지고, 즐길 수 있는' 실감 체험이 가능한 신 개념의 4D 콘텐츠 관련 국내 원천 기술이 확보되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