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착용하는 안전하고 편안한 렌즈입니다

▨ 각막난시 전용 rgp 렌즈의 모든 것






그동안 rgp 렌즈 fitting에서 각막난시의 유무와 상관없이 구면이든 비구면렌즈든 한가지의 디자인으로 base curv 만을 조정하여 처방 할 수 밖에 없는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각막난시가 있는 환자는 난시가 없는 사람에 비해 훨씬 불리한 조건에서 rgp 렌즈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soft 렌즈에서는 toric 이라는 광학적 공법으로 극복 하였으나 rgp 렌즈에서는 toric 공법이 적용하지 못 한다는 fitting 적 결함 때문이다.

물론 rgp 렌즈도 toric 렌즈를 제조 할 수는 있으나 toric rgp 렌즈의 착용시 작은 직경의 렌즈가 각막안에서 안검 순목시 눈물 순환을 위해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움직임으로 인해 toric 의 축방향이 좌,우로 이동되어 시력이 불안정 해지며 무게 중심을 위한 프리즘 밸러스트는 상,하로 이동이 크게 일어나 프리즘에 의한 up&down 현상으로 인해 어지러움이 심하게 발생하여 착용이 불가능 하게 됩니다.

이러한 rgp 렌즈의 한계성은 각막난시 교정시 특별한 디자인이 적용되지 못하고 정상 각막에 맞춰 디자인 된 일반 렌즈로 동일하게 처방 됨으로써 여러 가지 불합리한 착용을 야기하며 렌즈 착용시 정상각막 보다 많은 불편함을 감수 하여야 했다

따라서 각막난시에 적용되는 특별한 디자인의 렌즈가 필요하며 개발자는 그 필요성을 절감하고 오랫동안 연구 개발을 거쳐 제품화에 성공 하였다.

일반 비구면 rgp 문제점과 각막난시 전용 rgp 의 개선점을 비교 관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착용감은 ? 기존 비구면 rgp 렌즈(dia 9.8mm이하 )에서 렌즈 착용시 각막의 난시축 방행으로 높고 넓은 들림현상 (사진1) 이 발생하여 안검 순목시 렌즈의 움직임이 크게 발생하고 그로 인해 각막 및 안검마찰로 인해 심한 이물감을 발생 시키는데 비해 난시전용 rgp 렌즈는 각막직경에 대응되는 최대의 렌즈이며 (10.3∼10.5mm)에 기존의 1단계 비구면에서 3단계 비구면 처리하여 각막의 주변부 끝 형상까지 최대한 일치시켜서 렌즈의 들림현상(사진2)을 줄여 순목시 렌즈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어 각막 및 안검마찰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으로 개선될 수 있다.

▲ 사진2













두 번째 시력 불안정에서 기존 비구면 렌즈의 작은지경 (사진3)은 축방향으로의 들림현상으로 인해 과도
눈물층이 형성되어 그로인해 안검순목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렌즈의 움직임이 크게 발생하여 눈물층으로인해 시력 불안정이 심화되는데 비해 각막난시 전용렌즈의 들림 (사진5) 현상이 최소화 되어 눈물층의 안정이 이루어져 시력불안정이 거의 해소 될 수 있다.


▲ 사진3

▲ 사진5













세 번째 난반사로 인한 눈부심 현상은 ? (사진4)rgp 렌즈의 최대 단점이며 직경 작을수록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며 렌즈의 edge부분이 동공과 가까울 수록 난반사가 심화되며 특히 야간에 동공이 확장 될수록 심하며 소프트렌즈 유 경험자가 rgp렌즈로 교체할 때 가장 많은 불편을 호소하는 장애 요소이다.


▲ 사진4













이부분은 큰 직경(10.3∼10.5mm)이 완벽하게 난반사를 제거하며 같은 교정시력 이라도 선명한 시력이 보장되는데 이런예는 작은 무테 안경 보다 큰 뿔테 안경의 시력개선 효과와 비교할 수 있다.

네 번째 순환기능은(사진5) 작은 직경의 rgp 렌즈 일수록 눈물 순환이 유리하나 렌즈의 비구면 디자인과 fitting의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그래도 안정적이라 할수 있다.

그에 비해 큰 직경의 rgp 렌즈는 눈물순환면에서 순환 시간이 느려지고 적어져서 문제가 될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렌즈의 edge lift 설계에서 폭을 넓히고 각도를 높여서 눈물의 모음,저장 기능을 강화하고 눈물 저장 홈을 넓고 깊게 하여 상하순환로를 확보 하면서 빠르고 많은 눈물순환 기능을 이룰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재질의 산소 투과율에서 (사진6) 작은 직경의 rgp 렌즈는 각막의 노출 부위가 넓고 눈물 순환이 원활하여 재질의 산소투과율이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큰 직경의 rgp 렌즈는 각막 노출 부위가 적어짐으로 인해 이런 불리함을 재질의 높은 산소 투과율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 사진6


그러나 어떠한 rgp렌즈도 제조 개발에서는 눈을 위한 눈과 같은 눈의 과학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렌즈를 만들어야하고 처방자인 안경사는 정확한 검사와 정밀한 fitting이 전제 되어야 하며 성공적인 착용을 위해 끝까지 소비자를 돌보는 책임을 다 하여야 하며 착용자인 소비자는 시작이 다소 불편할수 있지만 전문가의 의견을 신뢰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위하여 지시에 협조할 수 있어야 한다.

위 5가지의 조건이 충족된 rgp렌즈는 모든 사람이 착용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콘택트렌즈이기 때문이다.

문의 tel : 02-581-0177,1588-1501 fax : 02-3486-8020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