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타각적 증상의 변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높은 렌즈로 착용 시 충혈현상이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brennan 등32)은 galy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한 결과 2주 후부터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발생한 윤부 충혈과 구결막 충혈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long 및 mcnally‘29’는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렌즈 착용 1 주일 후부터 결막 충혈, 윤부 충혈 및 혈관신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하였고, riley 등‘30’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함을 느낀 사람을 대상으로 senofilcon a 재질의 렌즈를 바꿔 착용하게 한 결과 윤부 충혈과 구결막 충혈 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렌즈 착용 1주일 후부터 구결막 충혈, 윤부 충혈이 뚜렷이 줄어들었고 1개월 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만성적으로 저산소증 상태가 되면 혈관신생이 나타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매일착용 스케쥴로 착용하더라고 근시도수가 높은 경우 또는 난시용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렌즈의 엣지가 두꺼워 혈관신생이 나타날 수 있다‘10,33’.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혈관신생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rennan 등‘32’은 galy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한 후 결막 염색이 증가했다고 보고하였고, amos‘34’는 phmb 성분이 포함된 관리용액을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각막염색이 발생했고 이것은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하는 관리용액 성분에 의해 염색이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jone 등‘35’ 및 epstein‘36’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관리용액에 의해 증상을 수반하지 않는 염색이 유발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olyhexanide가 포함된 관리용액을 사용도록 하였으며 1개월 사용 후 각막염색은 증가하였으나 결막염색은 변화가 없었다. 각막염색은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기간 중 증상이 없었던 착용자에서 나타난 경우가 52%, 증가한 경우가 1.6%, 감소한 경우는 8.7% 37.7%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염색에 대한 원인으로는 콘택트렌즈의 모듈러스 또는 관리용액에 의한 반응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모듈러스가 큰 콘택트렌즈로 본 연구에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모듈러스는 80g/mm2인 반면 과거 착용했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모듈러스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5∼35g/mm2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2.5배 정도 뻣뻣한 콘택트렌즈로 생각할 수 있고 이러한 재질의 특성이 각막염색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새로 개발된 실리콘 하이드로젤렌즈의 관리에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관리용액을 사용한 결과 각막염색이 발생했다는 선행연구‘32, 34’에 의하면 관리용액의 특정 성분이 콘택트렌즈 표면에 결합하여 나타난 결과로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사용하던 관리용액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관리에 사용할 경우 주의가 요망된다.



5.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전반적인 착용감

콘택트렌즈를 성공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 착용감이며‘37’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함, 건조감, 충혈을 호소하는 경우 렌즈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었다‘38’. dumbleton 등19)은 focus night & day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충혈과 착용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young 등‘39’도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매일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경우 책을 읽거나 냉난방 장치가 있는 환경을 제외하고는 착용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전반적인 착용감은 초기 착용감이 좋고, 편안하게 보이며 착용 1주일 후에는 충혈, 건조감 및 이물감이 감소하였으나 4주일째에는 약한 건조감을 느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건조감은 상당히 개선되었다고 응답했으며 컴퓨터 작업이 많은 직장 여성들에서는 건조감과 충혈이 줄어들었고 장시간의 렌즈 착용에 의해서도 눈의 피로감이 적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 착용시간을 늘일 수 있었다고 반응하였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65명을 대상으로 하나의 베이스커브(8.6mm) 만 제공되는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시킨 후 1개월 동안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다양한 각막곡률반경(약주경선:7.5∼8.5 mm)을 갖는 65명의 대상안에 베이스커브 8.6mm의 o2optix를 피팅한 결과 렌즈가 각막에 맞지 않은 1명을 제외한 64명에서 피팅 상태가 양호하고 움직임이 적절하여 단일커브 피팅 성공률이 98%로 나타났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동일한 도수의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처방하고 다시 덧댐굴절검사를 하여 최대교정시력을 갖는 도수를 확인한 결과 착용하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도수가 같은 경우는 66.1%, -0.25d의 추가 교정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22.6%, -0.50d의 추가 교정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4.8%, +0.25d의 추가교정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6.5%로 나타났다. 따라서 o2optix 콘택트렌즈로 최대교정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덧댐굴절검사(over-refraction)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 prt와 tbut 검사값은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보다 감소하였고 쉬르머 검사값은 약간 증가하여 gp 렌즈 착용자의 눈물막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중 흔하게 느낀 증상은 건조감, 충혈, 피곤함, 이물감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에는 건조감, 충혈, 피곤함, 가려움증, 눈시림의 증상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건조감, 충혈 및 피곤함을 많이 느낀 그룹은 증상을 적게 느낀 그룹에 비해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 증상의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따라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소프트렌즈 착용 시 나타나는 건조감과 충혈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중 충혈, 건조감, 피곤함의 증상을 심하게 느낀 사람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할 경우 만족감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 구결막 충혈, 윤부 충혈은 렌즈 착용 1주일 후부터 감소하여 1개월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각막염색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할 경우 각막 염색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요망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초기 착용감이 좋고 시력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렌즈 착용 중 건조감, 충혈, 피곤함, 가려움증, 눈시림의 증상을 감소시켜 장시간의 렌즈 착용에도 피로감이 줄여주나 각막염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