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전자제품 분야에선 해외직구 이용 활발
물류망 갖춘 美·통관 편한 中 최대시장 부상
아이웨어코리아

지난 해 말 전세계 블랙프라이데이 광풍을 일으킨 주역인 온라인 해외 직구시장을 우리의 수출 시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통해 해외 직판에 나서는 이런 방법은 이미 일부 의류와 전자제품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직구의 최대 시장은 규모가 연 400억 달러 이상의 미국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손으로 떠오른 중국이다. 미국은 글로벌 물류망을 갖춘 물류대행사와 안전한 금융거래 시스템을 바탕으로 지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중국은 소비시장의 확대추세에 따라 급팽창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중국은 온라인 구매 시 관세와 증치세 등을 면제하는 파격적 통관시스템을 도입함에 따라 시장 확대는 물론, 세계적 물류회사들이 속속 중국에 진출하여 탄탄한 물류망을 구축하는 부수적 효과도 얻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안경업계의 최대 해외진출국 중 하나이며 상당수 안경업체들이 진출하고 있는 중국시장인만큼 이런 온라인 직구를 통한 직접판매 진출도 중국시장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업계와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최근 중국의 온라인 소매시장은 연 50%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시장규모는 1조 8,851억 위안(한화 약 320조원)을 기록한 바 있으며, 2017년에는 4조 1400억 위안(한화 약 690조원)으로 2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과 함께 우리 안경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한 동남아 국가들도 온라인 직접판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베트남의 경우 온라인 쇼핑이 전체 소매 유통경로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온라인 해외수출기업들의 큰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3년 베트남의 온라인 쇼핑금액은 3억5700만 달러로 2010년에 비해 무려 435%가 증가했다. 베트남 온라인 쇼핑 시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 시장 중 하나로 2014~2018년 동안 157%의 성장률이 기대되고 있다.

이런 해외 직구를 활용한 해외시장 직접판매와 관련 KOTRA 관계자는 "FTA 체결로 인한 무관세, 한류열풍, 탄탄한 IT 인프라는 글로벌 온라인 직구시장에서 안경업계를 비롯한 우리 중소기업에 매우 큰 장점"이라며 "정품 판매와 배송사고 없는 신뢰도 높은 사이트 활용 등 기존의 정보와 인프라를 잘 활용한다면 해외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시장 진출 경험이 부족하거나 해외 직구 등 온라인을 이용한 해외 직접판매가 쉽지 않은 안경업체들의 경우 무역협회나 중소기업청 등 정부기관의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한국안경산업지원센터가 한국안경산업의 효과적인 해외 홍보와 판로 개척을 위해 지난해 오픈한 B2B 전자무역시스템 'eyewearKOREA.com'은 안경업체들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eyewearKOREA.com'은 오픈마켓으로 판매업체별 고유 도메인을 부여하고 온라인 및 각종전시회 홍보, 수출입 서류제작, 통관업무 지원과 미국 FDA인증 등록 등 다양한 해외 인증을 지원함으로써 수출업무 전체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동시에 수출보험 지원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판매 대상국가, 브랜드별 제한을 둘 수 있어 이미 판매책을 둔 국가나 브랜드도 관리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듯 무역업무 전체를 지원하는 글로벌전자무역원스톱지원시스템 'eyewearKOREA.com'은 한국안경산업지원센터의 공신력을 앞세우고 해외바이어로 하여금 결제안정성을 부각시켜 거래 결정을 보다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이상적인 전자무역시스템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자상거래 사이트

◇ tradekorea
무역협회에서 운영하는 B2B 사이트. 최근에 생긴 사이트이기 때문에 해외 바이어들에게는 다소 생소하지만 현재 알리바바닷컴과 적극적인 제휴 마케팅으로 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www.tradekorea.com

◇gobizkorea
중소기업청에서 운영하는 B2B 사이트. 국가가 관리하는 B2B사이트로 바이어들에게 신뢰를 주고 있다.
www.gobizkorea.com

◇ buykorea
KOTRA에서 운영하는 B2B 사이트. 상품을 등록하고 코트라의 결제 시스템인 KOPS를 통해서 바이어가 카드 결제를 할 수도 있다.
www.buykorea.org

◇ 알리바바닷컴
이제 알리바바닷컴은 무역을 하는 사람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리바바닷컴은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들여 전세계에 홍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바이어와 셀러들이 이용하고 있다.
www.alibaba.com


박충환 객원기자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