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착용 시력 교정 안전성 적극 홍보해야
2013120902000015000037162
안경업계는 협회를 중심으로 노안 수술의 위험성과 돋보기, 누진다초점렌즈를 통한 교정의 안전함을 알려 소비자들의 노안수술 수요를 줄여야 한다.

최근 40대 이상에서 나타나던 노안 현상이 30대에도 나타나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각종 전자기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지고 레저 인구의 증가로 자외선 노출 빈도가 잦아지며 생긴 현상이다.

과거에는 돋보기나 누진다초점렌즈로 노안을 교정했으나, 최근에는 노안교정수술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수술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홍보가 적어 피해사례 또한 늘고있다.

일시적으로 노안을 해결하고 편안한 시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노안환자들이 노안교정수술을 선택, 각 안과에서도 수술법을 개발해 안전하고 간단한 수술이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설명에는 소극적이다.

실제로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서도 심심찮게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글을 찾아 볼 수 있다.

한 50대 남성은 당초 라식 수술을 고려하고 안과에 방문했지만 노안 수술을 하면 근시, 난시는 물론 노안과 백내장도 완벽히 예방 가능하고 수술 다음 날부터 일상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다며 권유받아 수술을 진행했다. 그러나 수술 후 양쪽 눈이 심각한 짝눈이 됨과 동시에 실내로 들어가면 마치 3D안경을 착용한 것처럼 이중 상 맺힘 현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겼다고 밝혔다.

다른 수술 경험자들도 '차후 상태가 호전될 수는 있겠지만 현재 겪고 있는 부작용과 적응기간을 미리 알았더라면 절대 하지 않았을 것' '수술 전보다 더 안보여 신문은 아예 보지 못한다' '돋보기를 껴도 수술 전 안경 벗고 보던 것보다 덜 보여 답답하다'는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다.

김종석 서울시안경사회 회장은 지난 1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안경원의 큰 부가가치 요소 중 하나가 누진다초점렌즈(누진렌즈)이며, 간편함에 노안교정수술을 선택하는 고객에게 수술 부작용의 위험성을 알리는데 안경사들이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다시말해 안경업계는 무엇보다 노안교정수술의 수요를 줄이고, 안전한 안경 및 콘택트를 활용해 노안을 교정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홍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드러나지 않은 부작용이 많고 이미 나타난 부작용으로 일상생활의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며 "안경업계에서는 협회를 중심으로 부작용 사례를 수집하고, 실제 안과에서 시행되는 수술이 노안 해결에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파악해 노안교정수술에 대한 부작용과 함께 안경 착용을 통한 시력 교정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대상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unjii@fneyefocus.com 노현지 기자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