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콘택트렌즈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미용목적의 컬러콘택트렌즈 사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식약청은 최근 컬러콘택트렌즈 허가 형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컬러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일종으로 시력보정의 목적 외에도 다양한 색상과 눈이 커 보이는 효과 때문에 몇 년 전부터 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사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미용렌즈는 최근 몇 년 사이 연예인들의 착용모습이 방송에 비춰지면서 크고 또렷한 눈을 만들고 싶어 하는 이들의 선호도가 날로 높아만 가고 있는 추세이다.
시력이 좋아도 미용상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컬러렌즈도 일반적인 렌즈와 마찬가지로 안구의 모양과 동공의 크기 등을 검사한 후 자신에게 잘 맞는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중의 유통되는 컬러렌즈 중 저급한 렌즈를 사용할 경우 다양한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컬러렌즈의 착색부는 일반 소프트 렌즈에 비해 산소투과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장시간 착용할 경우 각막저산소증으로 인한 각막부종이나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선택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는 비친수성 재질로 산소투과율과 내구성이 좋은 “하드 콘택트렌즈”와 친수성 재질의 착용감이 좋고 이물감이 적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많이 착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09년 콘택트렌즈의 국내생산과 수입량이 약 1,546억원으로 ’07년 1,094억에 비하여 약 41%의 높은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고, ’09년 콘택트렌즈의 국내생산량과 수입량은 각각 800억원 및 746억원으로 총 1,546억원이고, 이 중 93%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허가 건수는 ’07년 12건에서 ’09년 50건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 중 칼라렌즈는 ’07년 5건에서 ’09년 26건으로 5배 이상 증가하였다.
한편,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연도별 생산 및 수입의 증가량을 분석한 결과, 수입은 ’07년 608억원에서 ’09년 722억원으로 약 18.8% 성장한 반면, 국내생산은 ’07년 394억에서 ’09년 723억으로 약 83.5%로 성장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콘택트렌즈 산업에 대한 밝은 전망을 예상하고 있다. 콘택트렌즈 산업에 대한 밝은 전망은 특히 미용목적의 칼라렌즈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콘택트렌즈 산업이 고부가치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력보정용 렌즈산업은 물론이고 미용목적의 컬러렌즈에 대한 기술개발 부분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kkeehyuk@fneyefocus.co.kr권기혁 기자
권기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