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과 비슷해 치료 시기 놓치면 실명 가능성 급증

사람은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저하된다. 시력도 자연스럽게 떨어지는데 이를 나이가 들어 생기는 노안으로 여겨 방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또 다른 원인인 황반변성이 주목받으며 연일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에 있는 신경조직인 황반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황반에는 시각세포의 대부분이 모여 있고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이기 때문에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황반이 여러 요인에 따라 기능이 떨어지면 시력이 저하되고 증상이 심해지면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특히 황반변성은 단순 노안 증상으로 착각하기 쉬운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병,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노안과 달리 먼 곳과 가까운 곳 모두 잘 보이지 않고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 보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는 증상이므로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크다.

게다가 발견 시기가 늦어지면 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건성과 습성으로 나뉘는 황반변성 중 건성 황반변성은 노화로 망막에 노폐물이 쌓인 상태기 때문에 큰 증상은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습성으로 변형돼 시력이 감소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습성 황반변성은 병이 더욱 진행된 상태로 치료 시기를 놓쳐 말기에 이르렀다면 시력 회복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큰 이상을 발견하기 힘들지만 시력이 떨어지고 진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사물의 선이 굽어보이고 물결치듯 휘어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사물 중심이 까맣게 보이지 않아 글자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 부분이 지워진 듯 보이지 않게 된다. 특히 한 쪽 눈에만 먼저 발병한 경우 반대쪽 눈을 사용해 사물을 보기 때문에 이상을 발견하기는 더욱 힘들다.

전문가들은 자가진단을 위해 '암슬러 격자'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밝은 조명 아래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 한쪽 눈을 가리고 30㎝ 거리에서 격자의 둥근 점을 바라봤을 때 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중심 둥근 점이 잘 보이지 않거나 선의 중간 부분이 끊어져 보이거나 한 부분이 뿌옇거나 찌그러져 보인다면 의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황반변성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화되면 치료가 힘들다고 알려져 있다. 지난달 23일 ytn 과학에 출연한 우세준 분당서울대병원 안과교수는 "현재 습성 황반변성의 표준 치료법은 안구 내에 약물을 반복해 주사하는 것"이라며 "안구 내 주사치료는 상당히 오랜 기간 받게 되며 평생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위에 광역학 요법, 레이저 치료 방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고 설명해 근본적인 치료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시사했다.
 
그러나 최근 외국을 중심으로 황반변성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과 각종 연구가 활발해지고 성공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7월 kbs가 영국 일간지 가디언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노인성 황반변성으로 주변 시력만 갖고 있던 80대 남성이 세계 최초로 인공 망막 삽입 수술로 중심 시력을 되찾았다고 밝혔으며 다카하시 마사요 일본 이화학연구소 팀 리더를 비롯한 연구팀이 노인 황반변성 환자에 인공다능성줄기세표(ips세포)로 만든 망막세포를 실명 우려가 있는 노인 황반변성 환자의 눈 속에 이식하는 세계 첫 수술을 실시한 지 1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수술 전까지 시력이 계속 저하됐으나 수술 후에는 시력 저하가 멈춘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식한 세포는 정착됐고 다른 이상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영국에서는 황반변성 중에서도 치료가 어려운 습성 황반변성의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처음으로 시작됐다.

영국의 '실명치료 프로젝트'는 배아줄기로 만든 망막색소상피를 습성 황반변성 환자의 망막 뒤쪽에 성공적으로 이식했으며 현재까지 아무런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hyunjii@fneyefocus.com 노현지 기자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