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늘어난 전자기기 사용으로 인해 안구 질환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녹내장과 백내장 구분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비슷한 질병으로 여길 수 있지만 두 질환은 증상과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잘 숙지하고 관리를 꾸준히 하여 눈건강을 지켜야 한다.
녹내장은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걸리면 한쪽이나 양쪽 눈의 시야가 좁아진다.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르게 되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녹내장의 원인은 안압이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안압이 정상수준이어도 안압의 일중 변동 폭이 크거나 시신경으로 가는 혈액 순환이 잘 안되는 경우 또는 유전자 이상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녹내장 환자들은 안압이 정상범위임에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발생하고 진행하는 ‘정상안압 녹내장’이 전체 녹내장의 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눈 관리를 평소에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녹내장에 걸리게 되면 안압의 급격한 과다상승으로 인해 심한 안통 및 두통과 함께 시력저하가 발생하고 구토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불빛을 보면 주변에 달무리가 나타나고 심한 충혈이 동반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녹내장의 원인은 극심한 스트레스, 몸의 피로, 전신질환이 있을 때 발생하고 또는 어두운 조명하에서 장시간 눈을 사용하고 장시간 동안 머리를 아래로 한 채 근거리 작업을 할 경우에 유발될 수 있다.
녹내장 중에 스테로이드 성분의 안약으로 인해 안압 상승에 의한 시력저하 등이 있을 수도 있으니 스테로이드 성분을 포함한 불필요한 안약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녹내장에 걸리지 않으려면 조기검진을 통해 빨리 발견하여 조기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안압이 높은 경우, 40세 이상, 녹내장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병, 저혈압, 심혈관 질환 등의 전신질환이 있거나 근시, 원시 외에도 당뇨망막병증 등의 안과 질환이 있을 때는 녹내장에 걸릴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꼭 받아야 한다.
녹내장과 헷갈리는 백내장은 눈 속에 투명한 수정체라는 구조물이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전체적으로 뿌옇게 되는 질환인데 백내장은 주로 노화에 의해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