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이 강한 여름에는 자외선으로 인해 광각막염에 걸릴 위험이 크다(사진=픽사베이)
햇빛이 강한 여름에는 자외선으로 인해 광각막염에 걸릴 위험이 크다(사진=픽사베이)

여름철에는 강렬한 햇빛과 물놀이로 인해 안과 질환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특히 여름에는 햇빛이 강해 선글라스를 써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면 다양한 눈 질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햇빛이 강렬할수록 자외선량도 증가하는데 자외선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안구에 화상을 입는데, 야외에 가면 자기도 모르게 직접 자외선을 볼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자외선과 같은 밝은 빛에 오랜 시간 노출됐을 경우 눈에 화상을 입어 각막에 상처가 생기는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눈 화상, 각막 화상으로 불리는 광각막염은 고도의 햇빛이나 용접 등 인공원 으로부터오는 자외선에 눈이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여 눈에 통증이 오는 증상을 말한다.

광각막염은 각막과 결막에 입는 화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보통 빛에 노출되고 여러 시간이 지나야 인지할 수 있다. 증상은 마치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과 비슷해서,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눈물이 나며, 심각한 고통을 느낀다.

심한 경우 염증을 동반하기도 하는데 초기에는 특별한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증상을 인지하기 어렵다.

하지만 반나절 정도 시간이 흐르면 눈 속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가려움, 눈부심, 눈 시림,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 맨눈으로 충혈이 보인다.

광각막염 치료는 안구가 손상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증상에 따라 항생제와 소염제를 사용해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안약을 점안하거나 손상된 각막상피의 재생을 유도하는 안연고로 처방한다.

광각막염을 예방하려면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지켜야 한다. 자외선에 덜 노출되려면 선글라스나 챙 있는 모자를 써야 하고 직사광선이 강한 오후12시부터 4시 사이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고 흐린 날씨에도 자외선 영향이 지속한다는 사실도 알아둬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