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크림 속 성분 확인 후 올바른 방법으로 발라야
햇빛이 따가운 여름철, 피부를 지키기 위해 많은 사람이 선크림을 바른다. 선크림은 여름에만 바르는 게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항상 챙겨 발라줘야 할 필수 아이템으로 꼽힌다. 하지만 선크림만 바르면 눈이 시리고 눈물이 나는 사람이 있다.
자외선이 피부에 좋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피부보호를 위해 선크림을 바르자니 눈이 아파 바를 수 없는 지경에 이런 사람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선크림을 바른 뒤 눈이 시리고 눈물이 난다면 해당 제품 속 성분 탓일 경우가 많다. 이 현상은 모든 선크림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 방식에 따라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 나뉘는데 유기자차 선크림 속 성분들이 예민한 사람들에게 눈 시림 현상을 유발한다.
자외선이 흡수되기 전 열에너지로 변환 시켜 자외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벤조페논-3(옥시벤존), 아보벤존(부틸메톡시벤조임메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성분이 있으니 눈 시림이 심한 사람은 이 성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는 것이 좋다.
눈 시림 증상이 없는 선크림을 찾는다면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선크림 성분뿐 아니라 잘못된 방법으로 선크림을 바르면 눈 시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대부분 렌즈를 낀 채 화장품을 바를 때 이런 증상이 생긴다.
렌즈를 착용할 때는 누구나 눈꺼풀을 만지게 되고, 착용 후 눈꺼풀을 깜박이면서 렌즈를 제자리에 위치하게 한다. 눈 화장을 한 상태에서 렌즈를 착용하면 그 과정에서 당연히 렌즈와 눈 안으로 화장품이 들어가게 된다.
렌즈에 지용성 화장품이 묻으면 시야가 흐려지고 이물감과 충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렌즈를 착용 후에 화장하는 것이 좋고 과한 눈 화장을 하면 눈 깜박임에 따라 눈 안으로 화장품이 밀려들어 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선크림뿐 아니라 아이크림이나 로션 등도 눈을 깜빡할 때마다 눈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는데, 이런 증상을 없애려면 눈 가장자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부터 바르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