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셀로, 소비자 잇는 가교역 자처... 안경원 즐비한 국내 정서 안맞아

미국은 온라인 판매 규제 강화중...한국은 오히려 퇴보 목소리 높아

'내눈N'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
'내눈N'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

안경원 콘택트렌즈 재판매 중개 플랫폼(픽셀로) 안건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 과기정통부) 34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에서 실증특례 안건으로 지난 3월 지정된 가운데, 픽셀로는 이달부터 내눈N’ 앱을 출시, 배달대행 플랫폼 부릉과 함께 콘택트렌즈 배송에 나선다고 최근 밝혔다.

픽셀로는 본격적으로 콘택트렌즈 재판매 중개 플랫폼을 시장에 선보이며 소비자들과 안경사들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겠다는 각오다. 픽셀로는 현재 자신들이 선정한 30개 안경원과 시범 운영 중이며, 아직 불안정한 앱의 경우도 안정화를 위한 기계적인 요소들을 재정비 중이다.

이에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이하 대안협)는 해당 플랫폼과 관련해 최대한 파급효과를 줄이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안협 관계자는 안경원 모집 및 선정 과정에서 체인 안경원이나 매출이 높은 곳은 제한하고 보수교육 이수와 면허신고를 완료한 가격 할인 없는 개인 안경원 위주로 모집해 줄 것을 요청한 상태라며 재판매 플랫폼 운영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시정 조치할 것이다. 또 유통질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철저히 막아내고 합당한 조치를 요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콘택트렌즈 재판매 중개 플랫폼 출시와 함께 현재 국내 안경업계에 ‘B2C 형태의 온라인 플랫폼이 정말 필요할까의구심을 갖는 이들의 의견도 다수 터져 나오고 있다.

미국의 아이웨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인 와비파커는 지난 2010년 안경 유통 절차를 간소화하는 온라인 커머스 형태의 기업으로 설립돼 2015년에는 기업가치가 12억 달러까지 치솟는 등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온라인에서부터 시작했으나 현재는 북미 지역 내 80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총 수익의 50% 이상이 창출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 안경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보다 국민 1인당 안경원 수가 현저히 떨어지는 미국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을 바탕으로 성장한 기업이 오프라인 매장을 늘리며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안경이라는 품목이 직접 써보고, 만져보며 안경사의 전문적인 솔루션을 통해야 비로소 그 역할을 다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미국 다수의 검안사들은 온라인 시력검사 시스템이 부정확할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시력검사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플로리다주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는 종합적인 오프라인 시력검사 없이 온라인으로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교적 규제가 적다는 미국에서 조차 시력검사와 안경의 조제, 가공은 온라인으로 대체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서울에서 안경원을 운영하는 A 원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집 근처만 나서도 반경 500m 근방에 안경원들이 즐비하다. 굳이 온라인으로 구매를 하고 배송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안경원에 방문해 30분 안에 시력검사를 받고 자신의 눈에 꼭 맞는 안경을 처방받고 쓰고 나올 수 있는 것이 우리나라 안경원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신속하고 정확한 안경원 시스템은 외국인들이 출연하는 방송에서 크게 화제가 된 적도 있다. 전국 5만 안경사들이 있고 1만여 개에 달하는 안경원이 있는 상황에서 국민 눈 건강과 직결되는 의료기기 제품을 온라인으로 배송받아 보는 것이 얼마나 큰 혁신이고 국민 편의를 위하는 일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료기기에 관한 철저한 관리로 유명한 미국도 현재 온라인 시력검사나 콘택트렌즈와 안경의 판매가 얼마나 위험한지 인지하고 관련 온라인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국민의 건강보다 앞에 둘 수 있는 명제는 없다. 지난 4월 헌법재판소는 콘택트렌즈 온라인 판매 금지가 국민 보건 향상 및 증진이라는 입법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정도를 넘어선 과도한 제한이라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국민 건강을 위해 어떤 것이 옳은 방향인지 정부 관계자들의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