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및 고지혈증 있다면 더욱 조심해야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있는 혈관인 동맥이나 정맥이 폐쇄되면서 시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사진=픽사베이)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있는 혈관인 동맥이나 정맥이 폐쇄되면서 시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사진=픽사베이)

현대인은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이런 질환들로 인해 망막의 혈관이 막힐 수 있고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눈에 오는 중풍이라고 불리는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있는 혈관인 동맥이나 정맥이 폐쇄되면서 시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망막혈관폐쇄 환자 수는 2014년 5만471명에서 2018년 6만3920명으로 4년 새 약 26% 늘었다.

망막정맥폐쇄증은 혈액이 빠져나가는 정맥 일부나 전체가 막히면서 혈액 정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황반부종이 발생해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망막 혈관폐쇄 증상은 망막 혈관 폐쇄의 주요 증상은 시력 저하이며,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 및 저하 속도에 차이를 보인다.

망막 중심 동맥 폐쇄는 급격한 시력장애를 보이며, 망막 분지 동맥 폐쇄는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망막 중심 정맥 폐쇄가 발생하면 시력이 현저히 감소하며, 망막 분지 정맥 폐쇄는 분지 동맥 폐쇄와 마찬가지로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가 결정된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들 혈관이 막히게 되어 시력 감소를 초래한다.

망막정맥폐쇄증을 막으려면 육식 위주의 식습관보다는 채식이나 등푸른생선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 금연과 함께 과음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위의 내과 질환이 있다면 1년에 2회 정도 안저검사를 통해 망막 혈관의 좁아짐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질환이 없더라도 40대 이상에서는 1년에 1~2회 정도 안저검사를 통해 망막과 망막의 혈관과 시신경 등에 이상이 없는지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평소 눈에 좋은 루테인과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방법이다. 루테인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시금치, 케일, 순무 등 짙은 녹색 채소가 있고,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은 토마토, 당근, 해조류 등이다. 비타민E 또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어 챙겨 먹는 것이 좋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